자녀의 또래 및 대인관계, 사회성과 사교성의 차이에 대해(언어-오현) |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3.03.20 | 조회수 : 555 |
자녀의 또래 및 대인관계, 사회성과 사교성의 차이에 대해
바우처사업 언어치료사 오현
자녀의 교우관계에 있어 부모님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사회성과 사교성일 겁니다. 많은 분들이 흔히 사회성과 사교성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사회성과 사교성은 어떻게 다를까?
반면 사회성이 뛰어난 아이들은 타인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공감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관계는 좁을 수 있지만 깊은 관계를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사교성이 양적인 개념이라면, 사회성은 질적인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이해할 수 있으실 겁니다. 또한 사교성은 갖고 태어나는 기질의 영역이지만, 사회성은 여러 경험과 훈련을 통해 갖춰지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다른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사회성의 경우 처음부터 뛰어난 능력을 갖고 태어나는 아이는 없기 때문에 여러 경험의 반복과 훈련을 통해 사회성을 갖추도록 해야 합니다.
◎ 사교성이 좋다고 해서 사회성도 좋을까?
반대로 내향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으로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지는 못하지만, 한번 관계를 맺은 친구들과 꾸준히 잘 지내는 경우, 사회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교성이 부족해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지는 못하지만, 친숙해진 친구와의 관계는 긍정적으로 유지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죠. 우리 아이가 낯선 친구들에게 잘 다가간다고 해서 또는 친구 관계를 잘 유지한다고 해서 사교성과 사회성이 둘 다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편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사회성 부족의 원인 위에서 언급했듯이 사교성은 일정 부분 갖고 태어나는 기질적인 부분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사회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훈련을 통해 갖춰집니다.
1. 부모의 과잉 보호 또한 이러한 여러 번의 좌절 경험으로 인해 자신감이 부족해지고 그로 인해 부정적인 자기상이 형성되어 더욱더 스스로 움츠러들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에게서는 ‘리셋 증후군’도 쉽게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 아이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는?
1.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주세요. 진심으로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자신이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받아야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갖고 있는 단점만을 지적해 위축되지 않도록 하고, 배려를 통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또한 아이만의 장점을 찾아 격려해주고, 자신감 있는 행동을 하거나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배려있는 행동을 했을 때는 칭찬을 통해 강화시켜 줍니다
3.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타인에게 도움을 받았을 때나 잘못된 행동으로 피해를 끼쳤을 때 고마움과 미안함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4. 아이의 정확한 성향을 파악해보세요.
<출처> https://www.maum-sopoong.or.kr/심리상담센터(2023.02.06.) |
||
첨부파일 : |
이전글 | 친구를 때렸다는데, 아이는 아니라고 할 때 (미술-김영란) |
다음글 | 한 가지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 매끄럽게 전환하기(미술-이지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