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중심 언어치료의 예(언어-이태영) |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0.06.24 | 조회수 : 1671 |
담화중심 언어치료의 예 바우처사업 언어치료사 이태영 1. 담화 - Episode(이야기) 1) 담화 Episode(이야기)는 배경, 에피소드, 계기사건, 시도, 내적반응, 결과, 반응 등으로 이루어진 이야기를 말한다. 2) 담화 Episode(이야기)의 어려운 이유 - 시간적 순서나 원인과 결과에 따른 사건의 연결 어려움(그림 서술만 하는 경우가 많음) - 부족한 표현과 어휘부족으로 문장구성이 힘들거나, 표현의 오류가 많음. - 잘못된 정보 제공 문장 구성이 힘들어서 또는 잘못 이해해서 생김 - 이야기 산출 길이가 짧음 - 자발적 산출(그림보고) : 배경, 등장인물의 감정 등을 빠뜨림 - 회상 산출 : 앞, 뒤만 얘기하고, 시도 등을 빠뜨림 - 담화적 결속장치 사용의 어려움 - ① 접속사 ② 연결어미 ① 지시적 대용어(그 아이, 그 때) 이야기의 응집성을 높이는 담화적 결속장치의 사용을 어려워 함. 따라서 이야기 응집력이 떨어짐. 2. 담화 - expository(설명) 1) 담화 - expository(설명)은 다음의 경우를 말한다. - story없이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글, -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 설명 or 서술 - text를 기본으로 자기 지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이해해야 함 - 맥락이 없기 때문에 언어적 처리가 더 요구됨 - 글 이해 전략(meta)이 필요함 - 설득(주장) - 읽기 과목에서 많이 나옴 - 설명(사회, 과학 등) 비교/대조, 원인/결과, 문제 해결/과정/ 등 2) 담화-expository (설명)의 어려운 이유 - expository는 새로운 정보, 비교, 주장을 보고 언어적으로만 처리, 해석하여 이해해야 되기 때문에 어려움 - 복잡한 이해전략이 필요함에 따라 이해전략이 어려움 3. 담화중심 언어치료의 예 (:김성은(2003), 단국대학교 청각언어장애아교육 석사학위논문에서 발췌함. 그림 묘사하기, 이야기 다시 말하기, 친숙한 주제에서의 대화로 구성하여 활동함.) 친숙한 주제에서의 대화를 이끌어가는 방법 중재자 : 선생님이 얘기 하는 거 잘 듣고 우리 이야기하자. 아동 : 네. 중재자 : 선생님이 어제 에버랜드에 갔었어. 회전목마도 타고 독수리 요새도 탔어. 버스타고 들어가서 사자하고 곰도 봤어. 아동 : 선생님 저도 에버랜드 가봤어요. (아동이 아무런 반응이 없으면 중재자는 질문으로 유도한다. 예: OO도 에버랜드 가봤어?) 중재자 : 와! 진짜?. 에버랜드에 가면 선생님은 독수리 요새가 젤 재밌더라!!! 아동 : 저는 자동차요, 선생님 있잖아요, 이렇게 줄 달려서… (아동이 반응 없으면 질문으로 유도한다. 예: 너는?) 중재자 : 아! 범버카? 아동 :네, 선생님 300번 타면 오산가요. 중재자 : 300번 에버랜드도 가?(주제 회복) ... 중략... 아동 : 선생님 테트리스 해봤어요? 중재자 : 아니, 그것도 무서워? 아동 : 아니요. 중재자 : 선생님은 무서워서 울었는데….(주제 회복) 아동 : 뭐가 무서워요? 중재자 : 사자가… 아동 : 에이, 난 하나도 안 무서운데…. 선생님, 나, 테트리스 900점까지 가요. 중재자 : 와 정말? 진짜 잘한다. 선생님은 200점인데…(아동이 주제 반복하여 주제 변경을 요구하였으므로 주제를 변경한다.) 출처: https://m.blog.naver.com/se18405/221654278808 |
||
첨부파일 : |
이전글 | 가정에서 말더듬 아동을 대할 때의 자세(언어-오현) |
다음글 | 자폐 어린이가 꼭 알려주고 싶은 열 가지 *(8) (놀이- 김지명) |